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디어의 여성 이미지 재현을 세 가지 측면에서 다룬다. 여성들의 전통적 이미지, 실제 여성들의 이미지 성차 관점, 현재 생산되는 이미지가 그것이다. 더불어 현재 미디어가 일상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은 만큼 연구참여자들의 세대별 여성들의 이미지를 어떠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들뢰즈와 과타리의 소수자론과 브라이도티의 성차 관점 사유를 이론으로 차용하였다. 들뢰즈와 과타리의 소수자론 개념을 차용해 ‘소수자-되기’ 중에서도 ‘여성-되기’에 주목하였다. 성차 관점은 대문자 주체로서의 여성을 세 관점으로 나누어 체현된 주체, 이미지 재현, 실제 여성들의 성차에 대해 분석하였다. ‘성차별 경험’, ‘미디어의 세대별 여성 이미지 재현 인식’과 ‘미디어 개선 방향성’의 세 가지 흐름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세대별 여성들의 이미지 재현과 실재 여성들을 소수자론의 사유와 성차 관점의 사유를 통해 살펴보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images in media in three aspects. The traditional image of women, actual women's image gender differences, and currently produced imag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xistence of discriminat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image of women by generation. To this end, Deleuze and Guatari's theory of minorities and Bridotti's gender differences were borrowed as a theory. Borrowing the concept of Deleuze and Guatari's theory of the min-ority, I paid attention to ‘Becoming - Woman’.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we divided women as capital subjects into three perspectives and analyzed the subjects embodied, image representations, and actual gender differences among wom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women by generation and the actual women through, the reasons of minority theory and gender differences.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