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헌법불합치결정의 유형과 성질 및 효력을 살펴보고, 최근의 「세무사법」 제6조 등의 개선입법과정을 중심으로 심판대상조항의 선정 및 명확성 문제 등 논란의 원인을 분석한 후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입법방식과 개선점을 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세무사법」 제6조 등의 개정과정에서 입법재량의 범위, 입법시한이 경과할 때까지 개선입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세무대리 등록제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였고, 향후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 시 유의할 점 등의 도출을 위해 「세무사법」에 대한 헌재결정을 중심으로 관련 쟁점을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세무사법」에 대한 헌재결정의 핵심은 세무사 자격 보유 변호사에게 세무사로서의 업무를 일체 수행할 수 없도록 한 것은 과잉금지원칙 위반으로서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라는 점이며, 이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세무사 자격 보유 변호사에 대해 모든 세무대리업무가 허용되어야 하나, 전문성과 능력의 정도를 판단하여 업무영역의 일부를 제한할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개선입법 시 심판대상조항 자체를 개정대상으로 삼는 것이 원칙이지만, 「세무사법」의 사례처럼 표면적으로 개정할 사항이 없거나 입법자가 위헌상태를 실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면 심판대상조항과 체계적으로 긴밀히 연결된 관련 조항의 개정도 개선입법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본다. 개선입법시한이 경과한 후라면 입법 공백을 메우기 위한 개선입법의 소급적용을 검토하면서, 종전 등록자의 지위를 제도적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을 함께 강구하면 될 것이다. 다만, 헌법재판소의 결정취지가 “세무사 자격을 갖춘 변호사의 등록절차를 마련하지 않은 입법부작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세무대리 등록 근거규정인 「세무사법」 제6조제1항 자체를 심판대상조항으로 삼은 결과 등록을 전제로 하는 제도들의 유효성 여부, 등록제도 자체 폐지 여부 등의 논란을 야기하였는바, 부진정 입법부작위에 관한 헌법불합치결정을 하는 경우 심판대상조항을 의미적으로 한정하여 표시하는 등 헌재결정문의 명확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ome ways of improvement on Decisions of Nonconformity to the Constitution and legislative improvement as follow-up steps by analyzing types, characteristics, and effect thereof. Confirmation of the object provision(s) and clarity to the decisions of 2015Hun-Ka19 and 2016Hun-Ma116 held in April 26, 2019 are at its analytic center. Some arguments have been made whether all of the tax agent services shall be open to attorneys granted a tax accountant license with relation to the scope and limits of the legislature’s formative powers. The effect of Article 6(1) and 22(1) of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in case those object provisions to adjudication are not revised by the legislative deadline declared in the decision has also caused controversy. 2015Hun-Ka19 decision has taken it as focal point that the above provisions placing strict restrictions on attorneys’ tax agent services infringed on their freedom to choose a job agains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were unconstitutional. Thus, as a general rule, all of the tax agent services should be open to attorneys granted a tax accountant license, and may be restricted only for the level of their expertise and ability thereon. It is a general principle that the object provision(s) per se would be revised according to the intent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On the other hand, revision of related provision systematically connected with the object provision(s) may also be permitted if there is no defect need to improve in the object provision or when revision of related provision virtually resolves unconstitutionality thereof. A recent bill for revision of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is one of the best examples. The retroactive effect of improved legislation and measures to admit the legal status of registrants before the loss of effect of the object provision to adjudication should be considered after the legislative deadline declared in decision. Although the point of 2015Hun-Ka19 decision lies in unconstitutionality of legislative inaction that no registration process of tax agent services has provided for attorneys, there was no consensus regarding the meaning thereof. To put it concretely, there have been several debates in the legislative process for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since August 2018 on whether the provisions such as revocation or update of registration subject to the object provision are still effective and whether the registration system is abolished. In conclusion, measures to improve clarity of sentence, such as adoption of semantically limitative ex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in constitutional adjudication, especially in Decisions of Nonconformity to the Con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