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체험형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추진되어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경찰학교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소년경찰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877명의 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90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동일하게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청소년경찰학교 프로그램의 목적과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주변인 척도, 정서적 공감 및 괴롭힘 반대 태도, 학교폭력대처행동’ 3개 영역 총 9개 항목을 선정하였고,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청소년경찰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통계적으로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경찰학교에 참여한 학생들은 학교폭력 주변인으로서 학교폭력을 방관하거나동조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방어하는 능력이 높아졌고, 괴롭힘에 대해 반대하는 성향과 타인에 대한 정서적 공감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학교폭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폭력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된 청소년경찰학교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운영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청소년경찰학교 프로그램에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있도록 교육부, 경찰청, 시‧도 교육청이 협업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소년경찰학교가 안정적이고지속적인 운영을 하기 위해서 체험형 교육을 통한 학교폭력예방이라는 사업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경찰학교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현장 전문가 및 외부 전문 인력을활용한 연수, 워크숍을 실시하고, 우수 사례 공유 등 체계적인 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Police Academy, which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14, as part of the experiential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o achieve this purpose, 877 experimental groups and 901 control groups participated in the Youth Police Academy conducted in the same pre-post survey. Based on previous studies, a total of three areas: bystander indicator, emotive and attitudinal changes, and response actions, and a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students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e Youth Police Academy in all areas an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youth police Academy increased their ability to actively defend against school violence, their tendency to oppose bullying, their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improved, and their ability to properly cope with the situation when school violence occurred. Therefore, for the stabl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Youth Police Academy,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rofessional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hat complements the existing standard programs and takes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Police Officers. For this, systematic education for the enhancement of the expertise of the School Police Officers in Youth Police Academy should be provided as wel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new experiential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to reflect the changing patterns of school viol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