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논리 및 논술」 수업과정을 통해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였던 비판적 사고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C 대학교 유아교육과 전공과목인 「유아 논리 및 논술」을 수강한 학생 27명과 연구자인 강의담당 교수 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논리 및 논술」 강의계획서와 수업 전사 기록물, 모의수업 계획안 및 수업 시연평가 기록물, 예비유아교사의 사고패턴 그림표상물과 논술, K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 평가지, 강의평가 기록물 등을 수집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유아 논리 및논술」 수업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해와 수용, 사고 공동체 속에서의 자기존재감확인, 토론을 통한 비판적 사고 즐기기, 일상의 이야기와 삶 속에서 비판적 사고와 친숙해지기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경험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자기 사고에 대한 객관적 인식 및 사고 개선을 위한 내적 동기유발과 함께 비판적 사고역량을 강화하였고, 공감적경청과 정직하면서도 절제된 의사소통을 통해 협력 및 인간관계역량을 강화하였으며, 유아의사고를 격려하기 위한 상호작용 역량을 증진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논리 및 논술」 교과목 운영의 방향과 예비유아교사들의 비판적 사고가 증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강의자의 역할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ritical thinking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in the class course of ‘logic and ess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twenty-seven students enrolled in the course, a required major course in th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 University, and a professor of this course.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made through such means as the lecture syllabus, class transcripts, lesson plans and evaluation records of demonstrative class, picture images and essays about the thought-patter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 of the study find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understand and accept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course, and confirm the self-identity in the thinking community, and enjoy application of critical thinking in discussion, and be familiar with critical thinking in daily life. Also, it is meaningful that such experiences helped them to stimulate the inner motivation to objectively comprehend their own thinking and improve it, while strengthening both their capacity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competence of human relationship through sympathetic and honest listening and restrained communication. This also aided the interactive competence in encouraging the thinking of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e direction to run the ‘logic and essay 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role of the lecture to promote the critical think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