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정책에 나타난 인성교육의 의미와 방법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본격적인 의미에서의 국가교육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올바른 인간, 훌륭한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홍익인간, 전인, 인성 등은, 비록 그 용어는 다르지만, 그러한 인간상을 지칭한다. 그러나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하여, 전인 또는 인성의 개념은 그 본래의 풍부한 의미를 지닌 열린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체를 지닌 닫힌 개념으로 규정된다.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새롭게 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그 연장선상에 있으며, 그와 병행하여 제정된 인성교육진흥법도 마찬가지이다. 전자에서 인성은 각 교육과정별로 설정된 다양한 성취기준과 이를 통하여 획득하게 되는 몇 가지 핵심역량의 총화로 규정되며, 후자에서 인성은 객관적으로 측정되고 인증될 수 있는 구체적 실체로 전환된다. 인성과 인성교육의 의미와 방법에 관한 이러한 사고방식은, 오우크쇼트에 의하면, 모든 지식을 기법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합리주의자의 사고방식과 동일하다. 교육적 합리주의에서 벗어난 올바른 의미에서의 인성교육은, 인성의 개념을 실체화하고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의 교육활동에 묵묵히 매진하는 교사의 모습을 통해서 암묵적으로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in South Korea's national curriculum policies. In a full-fledged sense, the n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aims to cultivate the right and good human beings. ‘Hongik Man’ (홍익인간), ‘Whole Man’ (전인), ‘Inseong’ (인성), etc. refer to such human beings, although these terms are different. However, starting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concept of whole person or character is not defined as an open concept with its original rich meaning, but as a closed concept with concrete substanc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newly enacted centering on core competencies, is an extension of that curriculum, and the same is true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enacted in parallel with it. In the former, character is defined as the summation of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sets for each curriculum and several core competencies acquired through them, and in the latter, character is transformed into concrete entities that can be objectively measured and certified by some tests. This way of thinking on the meaning and method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M. Oakeshott, is the same as the rationalist way of thinking that all knowledge can be reduced to techniques. Character education in the right sense, free from educational rationalism, is made implicitly through the appearance of a teacher who silently devotes himself/herself to all educational activities, rather than providing separat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substantiated concepts of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