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조지훈과 동시대에 활동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던 두 시인, 정지용과 김수영을 통해 조지훈의 시를 새롭게 읽어 보려는 시도이다. 정지용은 조지훈의 초기시와 이후의 시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김수영은 4․19혁명을 전후한 시기에 조지훈과 비슷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기도 했고 대결의식을 보여주기도 했다. 정지용의 추천으로 시단에 나온 조지훈에게 정지용은 큰 영향을 미쳤지만 해방 이후 분단을 거치면서 극복의 대상이 된 시인이기도 했다. 김수영의 시를 추천하기도 했던 조지훈은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으며 이념적으로 서로 다른 길을 걸으면서 김수영에게 대결의 대상이 되었다.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극복과 대결의 양상을 보인 이 시인들의 관계는 시작품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여기서는 조지훈의 추천 과정을 통해 정지용이 미친 영향의 흔적과 이후 조지훈이 그것을 극복해 나간 방향을 살펴보았고, 조지훈의 「밤길」과 정지용의 「녹번리」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했다. 또한 김수영의 「김일성만세」를 통해 조지훈에 대해 김수영이 가지고 있었던 대결의식을 살펴보았으며, 조지훈의 「마음의 태양」과 김수영의 「푸른 하늘을」을 상호텍스트적 관계 속에서 읽어 보았다. 이를 통해 조지훈이 정지용, 김수영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고 극복하거나 대결하며 나아간 시적 추구의 자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ad Cho Ji-hoon's poems anew through two poets, Jeong Ji-yong and Kim Soo-young, who were influenced and engaged in contemporary activities with Cho Ji-hoon. Jeong Ji-yong had an absolute influence on Cho Ji-hoon's early poems and later vision, while Kim Soo-young shared similar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showed a sense of confrontation around the 4․19 Revolution. Jeong Ji-yong had a great influence on Cho Ji-hoon, who appeared in the literary circles at Jeong Ji-yong's recommendation, but he was also a poet who became the object of overcoming the division after liberation. Cho Ji-hoon, who also recommended Kim Soo-young's poems, became the object of confrontation for Kim Soo-young as he walked ideologically different paths through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s, who have been influencing each other and showing signs of overcoming and confrontation, is also confirmed through the poems. Here, we looked at the traces of the influence of Jeong Ji-yong through the recommendation process of Cho Ji-ho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he overcame it later, and analyzed the intertextuality of Cho Ji-hoon's “Bamgil [밤길]” and Jeong Ji-yong's “Nokburn-ri [녹번리]”. Also, through Kim Soo-young's “Kim Il-sung Mansae [김일성만세]”, we looked at Kim Soo-young's sense of confrontation against Cho Ji-hoon. And we looked at Cho Ji-hoon's “Sun of the Heart [마음의 태양]” and Kim Soo-young's “For Blue Sky [푸른 하늘을]” in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on of poetic pursuit in which Cho Ji-hoon exchanged mutual influences with Jeong Ji-yong and Kim Soo-young, overcame or confronted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