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의 국제 난민 규범 내재화의 한계를 난민법 관련 행위자들의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한국은 1992년 ‘난민의지위에 관한 협약’과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를 비준했지만2012년 난민법이 제정될 때까지 난민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왔다. 대규모의 난민 유입의 경험이 없었던 한국 사회에서 보수 정당의 전향적인 난민법 도입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난민 인권 보호라는 국제 규범의 내재화 과정이 한국 사회에서 어떤 과정을 거치며완성되지 못하는가? 이에 본 연구는 규범 혁신가의 입법 과정을 통해 난민 규범의 내재화와 제도화 과정을 살펴보고 현재적 차원에서난민법의 한계에 대하여 논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limitations in internalization of international refugee norm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focusing on the actors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Refugee Law. The ROK ratified the Convention and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in 1992 but had responded passively to refugee issues until the Refugee Law was legislated. How did the conservative party initiate the legislation of the Refugee Law in Korean society that had never experienced a massive influx of refugees? What is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international norms of the protection of refugee human rights in its society?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n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refugee norms through the legislative process, highlighting the role of a norm entrepreneur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