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지적 탈융합 개입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수준, 우울 증상, 적응기능 곤란, 정신적 웰빙, 탈중심화, 심리적 유연성 부족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효과성 비교를 위해 심리교육 개입조건을 활용하였다.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의 점수에 기초하여 스마트폰 중독 위험 대학생들을 선별한 후에 인지적 탈융합 조건과 심리교육 조건에 무선할당 하였으며, 세 번의 측정 시기(사전, 사후, 추후)에 관련 구성개념들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교육 개입조건에 비해 인지적 탈융합 개입조건에서 스마트폰 과다사용, 우울 증상, 적응기능 곤란 및 심리적 유연성 부족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 유의하게큰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탈중심화와 정신적 웰빙에서는 두 개입조건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인지적 탈융합 개입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우울 증상, 적응기능 곤란 및 심리적 유연성 부족을 개선하는 데있어 효과적인 개입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통해서 밝혀야 할 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a cognitive defusion interven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at 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Thirty-eight undergraduate students who, based on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had a total score of at least 40, or had an impairment of daily living subscale score of at least 14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1) the cognitive defusion intervention condition (n=19) or (2) the psychological education condition (n=19). Both the conditions consisted of four weekly 70- to 80-minute sessions and included education about the causes of smartphone overuse. The cognitive defusion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reductions in smartphone overuse, depressive symptoms,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In addition, the cognitive defusion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functional impairment. However, changes in mental well-being and decenter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condition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gnitive defusion intervention is efficacious for relieving smartphone overuse, depressive symptoms, functional impairment,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at 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