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가족친화정책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는 관점을 따라, 2000년대 이후한국 가족친화정책의 구성과 실행에 영향을 준 사회・역사적 맥락 속에서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도입 양상을 살펴본다. 먼저 논문은 노동자를 남성 가장으로 보고 이들의 가족부양을 지원해 온 산업화 시기 기업의 가부장적 가족주의 정책이 2000년대 정부 영역에서 가족친화정책으로 흡수되면서 가족 부양 지원 프로그램과 가족 돌봄 지원 프로그램이‘가족친화정책’이라는 이름 아래 혼재됐음을 드러낸다. 그로 인해 노동자를 양육자로 상정하고 가족 돌봄을 병행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한다는 요구와 노동자의 부양자 역할을지원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려는 상반된 압력이 기업 안팎에 공존하는 가운데, 오늘날기업이 가족친화정책을 어떠한 방식으로 실행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2015년 기업 및공공기관의 가족친화수준 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두 종류의 가족친화정책 프로그램의조합 패턴에 따라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도입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하고 변이를 초래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부 차원의 압력이 특정한 방향의 정책 도입에 뚜렷한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가운데, 여성인력 관리의 필요라는 시장적 요구가 가족 돌봄을 지원하는 가족친화정책의 일관된 도입을 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조 등의 내적압력으로 가족 부양 지원 프로그램을 계속 유지하는 기업 또한 적지 않았고, 가족친화정책 자체에 소극적인 기업 또한 다수를 차지하였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family-friendly policy has a specific meaning according to the social context, and examines the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South Korean society, and analyzes how companies introduce family-friendly policies. During industrialization corporate policies that supported workers in supporting their families emerg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developing country’s growth-oriented development strategy. ‘Family-friendly policies’ were imported from abroad as a means of improving productivity and innovation, and in the early 2000s, they began to appear in government policies. However, in the process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becoming a major policy agenda for the government from the mid-2000s, businesses’ family-related policies and patriarchal familism began to become entangled with family-friendly policies. For this reason, many businesses’ ‘family-friendly policies’ are actually a jumble of programs that support breadwinners and programs that support caregivers. I conducted a latent class analysis to discover how businesses combine these different types of family-related program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se types of family-friendly policies. I found tha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xposure to legal and normative compulsion from the government does not account for the variance between any of the types. Instead, the adoption of programs that consistently support family care by allowing flexible management of work-family balance has been driven by market demand—the need for efficient workforce management.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companies are still passive in introducing family-friendly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