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왜 사람들이 타인의 존재가 전제된 공간인 SNS에 자신에 대한 게시 물을 올리는지, 이런 자기노출 행위가 개인의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SNS에 게시물을 올리는 행위를 기록적 자기노출과 과시적 자기노출로 나누어 개념화하고, 개인의 나르시시즘 경향이 두 종류의 자기노 출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 두 가지 자기 노출 행위가 각각 개인의 주관적 안녕 감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타인의 긍정적 피드백에 의해 자기노출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되는지도 살펴보았 다. 20-30대 인스타그램 이용자 434명을 상대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르시시즘은 기록적, 과시적 자기노출 모두와 정적인 관련을 맺고 있었으나, 과시적 자기노출과 더 강한 관계를 보였다. 기록적인 자기노출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과시적 자기노출은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타인의 긍정적 피드백은 두 가지 형식의 자기노출 행위와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서 조절작용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나르시시즘이 강한 개인의 경우, 과시적 자기노출과 주관적 안녕감 간사이의 관계는 긍정적 피드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divided self-disclosure behaviors on Instagram into ‘archiving self-disclosure’ and ‘conspicuous self-disclosure’, and examined whether or not narcissism affects the two forms of self-disclosure.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these forms of self-disclosure influence individual’s subjective well-being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s are moderated by the amount of positive feedbacks. Online survey data of 434 Instagram users in their 20s and 30s were analyzed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narcissism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archiving self-disclosure and conspicuous self-disclosure, but narcissism had a stronger effect on conspicuous self-disclosure than archiving self-disclosure. Moreover, archiving self-disclosure positively influenced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conspicuous self-disclosure had a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 feedbacks from others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tegories of self-disclosure behaviors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re was a three way interaction effect of self-disclosure, narcissism and positive feedback on subjective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