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면주전 내부의 세부 조직 단위에서 작성된 회계장부들의 기재 양식을 분석함으로써, 면주전의 회계장부 관리 방식뿐만 아니라 각 세부 조직들의 성격과 운영 방식을 추적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기존의 시전 연구가 시전과 정부의 관계 또는 시전 상인과 비시전 상인의 관계에 주된 초점이 있었다면, 이 논문은 시전 내부 조직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 면주전문서(일본 교토대학 가와이문고 소장) 중에는 여러 契⋅所 단위의 회계장부류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논문은 그 중에서도 傳掌謄錄류를 우선적으로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傳掌謄錄은 각 계ㆍ소의 보유 자금을 면주전 구성원들에게 분배하여 맡겨두는 ‘摓授’를 주목적으로 작성된 것이었다. 각 「傳掌件記」들은 분기별로 上下⋅上用 내역과 그 이자를 정산하는 전반부와 그 잔액을 都仍留人⋅族仍留人⋅時摓授人⋅稍實人⋅私貸秩⋅權貸秩 등의 명목으로 나누어 적은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후반부가 ‘傳掌’의 주요 내용이었다. 둘째, 특수 조직들을 제외한 모든 일반 계⋅소의 上下⋅上用 내역은 禮錢 수입과 齋錢⋅賻儀錢 지출이 그 대부분의 내용을 차지했는데, 입금된 신참례전의 납부자와 출금된 부의금 수령자는 계⋅소의 구분 없이 동일했다. 단, 면주전 내 별도의 공인계 조직으로 존재했던 세폐계의 경우, 그 신참례전 납부자와 부의금 수령자가 면주전 전체 구성원의 부분집합에 해당되었다. 셋째, 都仍留人⋅族仍留人⋅時摓授人⋅稍實人⋅私貸秩⋅權貸秩 등은 모두 대출 명목들이었다. 都仍留⋅族仍留는 族徵 등의 이유로 어떤 사람의 이름 아래 대출금을 달아두고 분할상환하게 하는 명목이었다. 摓授는 일반적인 대출 명목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時摓授人’이라는 것은 그 회계 분기 당시에 자금을 맡겨둔대상을 뜻했다. 稍實人은 실적이 좋았던 구성원을 뽑아 특별히 자금을 摓授한 대상이었다. 私貸⋅權貸는 시전 외부인에게나 정부에의 應役 과정에서 대출해준 명목으로 보통 장기 대출인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傳掌謄錄은 각 계⋅소의 실무 내용과는 관계없는 대출 기능에 특화된 장부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counting system of Sijeon(市廛) orga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system of the sub-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documentation form of the accounting books written by each sub-organization of Myeonjujeon(綿紬廛). Moving away from the previous research on Sijeon that had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jeon and the government, or the relationship between Sijeon merchants and non-Sijeon merchants, this paper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organizations of Sijeon. Among the various accounting books in ‘Myeonjujeon Documents (in Kawai collection of Kyoto University)’, the books named as Jeonjangdeunglog(傳掌謄錄) were selected as the priority analysis targets in this paper. Through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main purpose of writing Jeonjangdeunglog, which was managed by each sub-organizational unit, was to record the loan status of each sub-organization’s funds. Rather than the front part of each accounting ledger, where the contents of income and expenditure books were simply synthesized, the latter part containing the recipients and their loan titles to which the current balance was entrusted(傳掌, Jeonjang) was the core contents. Second, a comparison of the income and expenditure details of most general sub-organizations showed that membership fees and funeral aids occupied most of the contents, and their payers and recipients were the same regardless of the organization except for some special funding sub-organizations. However, in the case of Sepyegye(歲幣契), which was the separate Gongin (貢人) organization that belonged to the Myeonjujeon, the fee payers and the aid recipients were a subse of those from other sub-organizations. Third, all the titles lis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ledger were the titles of loans. The title of ‘Bongsu(摓授)’ was the most common method of loan. The members with good business performance were classified as ‘Chosilin(稍實人)’ and took over their funds. The title of ‘Ingryu(仍留)’ was to impute a member’s debt on the name of another member and to make him pay it in installments. The title of ‘Sadae(私貸)’ or ‘Gweondae(權貸)’ was generally loaned to outsiders and was usually long-term loans. In conclusion, Jeonjangdeunglog was an accounting book specialized in the function of lending and was not related to the practical work contents of each sub-organiz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