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정보 교과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활동의 자율과목을 편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율활동이란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나 학교 특성을 반영해 자율과목이나 다양한 교육활동을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는 교육활동 시간을 의미하며, 자율과목은 의무 선택의 부담 없이 자유롭게 선택해 운영하거나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과목을 의미한다. 자율활동과 같이 학교장 재량 시간을 이용하여 독립된 교육과정을 운영한 사례로는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1~2학년군의 ‘안전한 생활’편성과 7차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 재량활동에서 선택과목을 운영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자율과목으로 편성해 운영할 수 있다면 최소한 인공지능, 코딩, 빅데이터 등을 배우고 싶어 하는 학생들만이라도 공교육 속에서 배움의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necessity of independent operation of information curriculum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 changes and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curriculum. Also, a plan was suggested to organize autonomous subjects for autonomous activities so that information education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in elementary schools. Autonomous activity is an extension of the concept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refers to an educational activity time in which autonomous courses or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freely operated by reflecting the needs of students and parent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It means a subject that you choose to run or do not have to choose. In the case of running an independent curriculum using the discretionary time of the principal, such as voluntary activities, the “safe life” of the 1st and 2nd graders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7th junior high school curriculum operate elective courses in subject discretionary activities. One can be found. Therefore, if inform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an be organized and operated as autonomous subjects, at least students who want to learn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and big data will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in public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