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 후기 통신사행에서는 국서⋅서계 별폭 예물 외에 통신사가 일본의 각 인사에 증정하는 사예단이 있었으며 증정 대상에 따라 사예단 단자를 작성하였다. 通文館志와 增正交隣志 등의 외교 지침서에는 사예단과 사예단 단자의 양식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사예단의 증정 주체는 통신 삼사이며 예조의 주관으로 호조와 경상도로부터 사예단을 조달하였다. 통문관지와 증정교린지에 의하면 사예단의 증정 대상은 사행의 형편에 따라 증감이 있었다. 증정교린지에 수록된 증정 대상은 총 60항목으로 이는 통문관지의 1682년⋅1711년⋅1747년 사예단 증정 사례를 포괄한 것이다. 사예단 증정 대상 가운데 사예단 단자를 통하여 예단을 증정하는 대상은 관백⋅대마도주 등 22항목이다. 증정 대상은 관백, 집정, 경윤 외 14, 숙방, 대마도봉행, 대마도 재판차왜⋅도선주로 구분하였다. 단자 양식에 따라 증정 대상을 구분하면 총 6종의 양식이 존재하며 경칭, 도서, 문서의 작성자, 작성 종이 등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현전하는 사예단 단자는 현재까지 5건을 확인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사예단을 정식 의례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행의 형편에 따라 통신사가 임의로 다른 명목의 물종을 사예단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1763년 사행의 사예단 증정은 지역에 따라 대마도(행로), 대판∼강호, 대마도(왕로)의 세 곳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마도(행로)에서의 증정 대상 및 물종은 증정교린지의 내용보다 많고 대판∼강호, 대마도(왕로)의 사예단 물종과 수량은 증정교린지의 내용과 비교적 일치하였다. 일정 물목을 다른 물목으로 대체할 경우에는 일정한 비율에 따라 증정이 이루어졌다.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ongsinsas would present Sayedans to each concerned figure of Japan in addition to Gukseo and Seogye Byeolpok presents in their trips to Japan with Sayedan Danjas prepared according to receivers of these presents. Such diplomatic guidebooks as Tongmungwanji and Jeungjeonggyorinji contain rules about the forms of Sayedans and their Danjas. The subjects of presenting Sayedans were Tongsinsas, and Sayedans were procured from Hojo and Gyeongsang Province under the supervision of Yejo. According to Tongmungwanji and Jeungjeonggyorinji, receivers of Sayedans would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envoy trips. There were total 60 items presented to Japanese figures in Jeungjeonggyorinji, and they include the cases of Sayedan presentation in 1682, 1711, and 1747 recorded in Tongmungwanji. Of receivers of Sayedans, 22 including Gwanbaek and Daemadoju received Yedans via Sayedan Danjas. They were distinguished into 14, Sukbang, Daemadobonghaeng, and Daemadojaepanchaoae⋅Doseongju⋅Sangjunghamachaji as well as Gwanbaek, Jipjeong, and Gyeongyun. There were total six Danja forms according to receivers, and they showed certain differences in honorifics, seals, drafters of documents, and paper.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Sayedans were recognized as part of formalities and followed certain rules. Tongsinsas would, however, use different kinds of items for different pretexts as they lik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ir envoy trips. In the envoy trip of 1763, there were three rounds of Sayedan presentation according to regions involving Tsusima(inbound), Osaka∼Edo, and Tsusima(outbound). While the receivers and kinds of items on Tsusima(inbound) were more than what were recorded in Jeungjeonggyorinji, those of Sayedan presentation in Osaka∼Edo and on Tsusima(outbound) relatively matched the records in the guidebook. In case of substituting certain items with others, presentations happened according to certain rat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