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구직역량과 사회적 지지기반 유형 및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2019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 506명의 자료를 토대로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여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구직역량 및 사회적 지지기반 유형별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구직역량 및 사회적 지지기반 유형별 잠재계층은 총 3개로 확인되었다. 잠재계층 1 ‘구직역량 미충족 - 전반지원 필요집단’, 잠재계층 2 ‘구직역량 충족집단’, 잠재계층 3 ‘구직역량 미충족 - 집중지원 필요집단’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고용 및 사회적 지지기반 지원서비스의 설계 및 적용에 대한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s: This study explore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ork competency and social support among young adults(20-40 years) with disabilities based on latent class analysis(LCA). Method: The data(506 participants) analyzed was extracted from 2019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released by Korean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Latent class analysis(LCA) was conducted to examin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 Result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three latent classes: (a) work competency unachieved-general support needed class, (b) work competency achieved class, (c) work competency unachieved-focused support needed class. Implication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designs and applications of career and social support service among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