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문제 또는 목적: 본 연구는 미취업 장애인의 심리적인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지원이 되어야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2,3,4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미취업자 중 본 연구에서 사용할 주요 변수에 모두 응답한 패널 1,08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변수는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이며, 분석방법은 평균차이 검정(t/F검정)과 자기회귀 교차지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 연령, 장애유형, 장애정도, 학력 등에 따라 미취업 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회귀 교차지연 분석 결과 모형은 적합하고, 모든 경로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으며, 장애수용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자기효능감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또는 시사점: 미취업 장애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함으로써 그들의 어려움과 문제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일반적인 취업프로그램에서 장기간 미취업 장애인에게 취업의욕과 심리적인 지원이 기술교육보다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bout change of unemployed disabilities’s psychology and how to support them. Method: This study use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2wave 2, 3, 4 data, subjects were 1,084 who answered variables. Variables were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The method was t-test or ANOVA, autogrewwive model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mean difference of self-efficacy or disabilityacceptance follow gender, age, disability, school and so on. Second, a result of the autoregressive model analysis, the model was ift,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 in all pathway and the influence of disability acceptance on self-efficacy was greater than that of self-efficacy on disability acceptance. Conclusion: Analysis unemployed disabilities was ble to find their difficulties and problem. In the employment program, it was identified that the willingness to work and psychological support should proceede technic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for a long period of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