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중패권경쟁의 최대 격전지 중 하나인 동남아 지역의 중소국가들은 미중으로 부터의 압력에서 벗어나고 어느 한 쪽하고도 적대적 관계를 만들지 않으면서 생존과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헤징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본 논고는 미중패권경쟁에 대응하는 동남아 국가들의 헤징전략을 분석해 본다. 우선 헤징의 개념, 동남아 국가들의 헤징동기와 목적 그리고 헤징유형에 대하여 고찰한다. 동남아 국가들은 국내외 상황에 따라 간접균형, 지배부정, 경제실용주의, 반가치외교, 구속개입, 제한편승, 다자제도균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헤징전략을 구사해오고 있다. 헤징의 궁극적인 목적은 미중 양국에 대한 지배부정이다. 동남아 국가들은 어느 정도 지역 자율성을 유지하고 역외국가로 부터의 영향력을 희석시키면서 국가안보를 확보하고 꾸준한 경제성장을 이루어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헤징전략은 유효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동남아 국가들의 헤징전략이 지속적으로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글로벌 차원에서 헤징프레임을 재구성하고 아세안 중심성을 확고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In response to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taking a hedging strategy that secures national security and obtain economic benefits, while avoiding pressure from and not antagonizing relationship with any of the two great powers. This paper analyzes the hedging strategy of the Southeast Asian states. A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hedging and the motives, goals and types of the Southeast Asian states’ hedging strategies. Depending upon their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adopting various hedging strategies, such as indirect balancing with US, domination denial, economic pragmatism, opposing value diplomacy, binding, limited bandwagoning and multilateral institutional balancing. The ultimate purpose of the hedging strategy is to deny any domination of the region by either China or US. It seems that those hedging strategies have been effective to the extent that they have maintained somewhat regional autonomy, diluted influence of outside powers, preserved national security and achieved steady economic growth. Yet, to keep being effective, the hedging frame needs to be reconstructed from a global perspective. And the ASEAN Centrality should be strengthened and conso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