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능력 위주의 승진 문화 확산 등으로 인해 이른바 ‘나이 어린상사’가 늘고 있으나, 나이에 따른 서열 체계가 익 숙한 직장인들은 이런 새로운 흐름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상사와 같이 근무하는 것 에 대해 구성원이 스트레스를 받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자신의 위치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불안감은 궁극적으로는 이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린상사의 영향에 관한 논의와 실증 연구 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상사에 대한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위반 지각을 통해 직무열의에 미 치는 과정을 탐색하고, 리더 정당성이 심리적 계약위반 지각에 미치는 조절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설 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기업에 근무하는 254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 째, 어린상사는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심리적 계약위반은 직무열의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어린상사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어 린상사와 심리적 계약위반 관계에서 리더 정당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 적 시사점을 제시하면서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so-called “young bosse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spread of a promotion culture focused on ability, but it was found that office work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hierarchy according to their age are under considerable stress from this new trend. The biggest reason why employees are stressed about working with a young boss is ‘psychological anxiety’ about their position. This psychological anxiety can increase the turnover rate and ultimately lead to retirement.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these young bosse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rocess that affects work engagement through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toward young bosses, and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 legitim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er boss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 lations. For thi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o verify the hypothesis, we collected and analyzed questionnaires from 254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companies in Korea. As a result of empiri- cal analysis, first, the young bo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mber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 tion. Seco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not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boss and work engagemen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ader legitim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boss and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