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성종대의 마지막 문형(文衡) 어세겸의 삶과 관각산문의 특징을 최초로논구한 것이다. 어세겸은 서거정의 전폭적 지지와 그에 대한 계승의식을 바탕으로서거정의 후임 대제학에 올랐다. 그러나 서거정과 김종직이라는 두 걸출한 문호에게 가리어져 그의 생애와 문학세계에 대한 고찰이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어세겸은 환로(宦路) 초기부터 꾸준히 문장 능력을 인정받아 승문원(承文院) 등관각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특히 그가 변방과 외교 현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것은 다른 관각문인들과 변별되는 장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어세겸은 세조대부터연산군대까지 임금의 명에 따라 각종 외교문서, 응제기문 등을 다수 창작하였다. 어세겸의 관각산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어세겸은 사명(詞命)의 제술에 능했다. 그는 동문선을 비롯한 국내외 관각문학의 전통을 숙지하고 있었다. 특히 교서(敎書)나 표전(表箋)의 표현법, 변려문의 체식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능숙하게 구사하였다. 또한 성종대의 변화된 사대교린의 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조선의 국익을 보호하기 위한 현실감각을 작품속에 반영하였다. 둘째, 어세겸은 서거정의 문예사조를 계승하였다. 즉, 문장이 세교(世敎)를 돕고문장화국(文章華國)을 긴밀하게 표출하는 도구임을 천명하는 한편, 문장의 우열이작가의 타고난 기상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또한 서거정이 최초로 사용한 표현법을자신의 작품에 노출하는 등, 그와의 학문적·정치적 친연성을 드러냈다. 셋째, 어세겸은 명나라에 대한 과도한 사대의식이나 불필요한 비유를 반복하여 의경의 유기적 흐름을 저해하는 등의 한계 역시 노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새로운 연구결과를 도출을 바탕으로 조선전기 관각문학의 구체적 실상이 보다 활발하게 논의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of the Eo Se-Kyum(魚世謙)’s life and characteristics of Gwan-gak(館閣) prose, who was the last DaeJeHak(大提學) of King Seongjong reign. Based on the full support of Seo Geo-jeong(徐居正), Eo Se-Kyum became his successor Daejehak. Since the beginning of his career, he had consistently been recognized for his ability to write and worked in important posts such as Seungmunwon(承文院). In particular, his experience is distinguished from other writers, such as quickly judging the situation and making bold decisions at the border and diplomatic sites. His Gwan-gak prose ha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he accurately understood the formal expressions peculiar to diplomatic documents, the rules of Byeonryomun(騈儷文), and used them skillfully in his works. It also showed a sense of reality to protect the national interests of Joseon in response to the changed diplomatic situation of Seongjong reign. Second, he revealed his academic and political affinity with Seo Geo-jeong. He declared that literature was a tool that helped the king's edification and expressed the cultural level of Joseon. He also believed that the superiority of sentences depended on the author’s natural energy. Third, Eo Se-kyum also revealed limitations such as excessive respect of the Ming Dynasty, unnecessary repetition of metaphors, and not considering the flow of logic.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covering the concrete reality of Gwan-gak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