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범교과 학습 주제와 행사 활동의 배정으로 인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자신이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순수 재량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외부에서 요청되는 교육의 대부분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 실행 여부를 증명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학교교육과정 문서와 실제 실행을 일치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각종 인프라와 예산의 한계로 인해 창의적 체험활동을 내실 있게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단계에 적절하지 않은 영역이 편성됨으로써 의미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CEA)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and what difficulties teachers have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explore ways to improv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achers felt that they lacked the discretionary time they could use autonomously in the CEA due to the schedule of cross-curriculum themes and school events activities. Secondly, the teachers had a burden of proving that the CEA curriculum had been faithfully implemented as mos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requested from outside of school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CEA. Thirdly, the teachers were struggling to correspond school curriculum documents with their classroom practices. Fourthly, the teachers found it difficult to manage the CEA fruitfully due to the limitations of schools' infrastructure and budget. Lastly,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CEA could not be meaningful for their students since some areas not appropriate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CEA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