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Bernard Williams contended famously that if an agent thinks it is morally permissible to save his wife from danger when a stranger is also in peril, and only one of them can be saved, he has had “one thought too many.” Williams raised this “one thought too many” objection to impartial moral theory. One of the primary intentions of this paper is to dismiss some misunderstanding of the objection so that it receives the fair treatment it deserves. First, one standard response to the “one thought too many” objection is that even those committed to impartial morality do not generally appeal to it at the time of action. However, this rejoinder is based on a misguided view of the objection, because Williams argues that the full content of a person’s motivating cognition, whether at the time of an action or otherwise, need not include the idea of moral permissibility. Second, those who believe that the charge of “having one thought too many” is identical to the notion of “one and only one thought” may complain that William’s contention is based on an unduly restricted view of human psychology. However, the proponents of such a view ignore that Williams does accept that people’s motivations can be as dissimilar as their characters and projects. I demonstrate that this in no way undermines his basic insights vis-à-vis the indictment of impartial morality.


윌리엄스는 부인과 낯선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 (그리고 어느 한 쪽만 구할 수 있을 때) 남편이 도덕적 허용 가능성을 인지하면서 부인을 구한다면 그는“하나만 생각해야할 순간에 너무 많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윌리엄스는이를 공평성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도덕이론에 대한 반론(이른바 “너무 많이 생각함” 반론)으로 제시한다. 이 반론은 관련 논의에서 매우 자주 인용되곤 하지만 그요점은 그만큼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본고의 주된 목표는 이 반론에 대한 두가지 오해를 불식시켜 그 포인트를 공정하게 평가하는 것이다. 첫째, “너무 많이 생각함” 반론에 대한 전형적인 대응은 공평성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이론)을 수용하는 사람들도 실제로 행위 하는 시점에는 그것에 명시적으로 호소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울프에 따르면 이런 대응은 “너무 많이 생각함” 반론의 요점을 오해한 것이다. 윌리엄스는 행위자의 동기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내용은, 행위를 하는 시점이든 아니든, 도덕적 허용 가능성이라는 생각을 반드시 담을 필요가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둘째, 주어진 사례에서 부인을 구하는 남편의 동기가 오직하나의 생각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윌리엄스가 가정했다고 보는 철학자들이있다. 그들은 일상적 행위자의 동기가 작동하는 방식이 그의 논의에서 지나치게협소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비판을 제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대응 또한 윌리엄스의 입장을 오해한 것이다. 그는 사람들의 동기적 내용이 각자의 성품과 계획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그런 가정을 할 이유가없다. 필자는 “너무 많이 생각함” 반론을 이렇게 유연하게 이해하더라도 그 효력이여전히 유효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