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Some goals have special significance to agents. An agent could find her life worth living because she is pursuing certain goals, and the agent could think that her previous life has no value because she did not pursue what she is pursuing. If an agent’s current goals have special importance to the agent herself, then in terms of prudence the agent’s decision to obtain the goals could be permissible even in the case where achieving her previous goals brings out larger advantages. A widely endorsed thesis of prudence (i.e. the temporal neutrality thesis) does not successfully explain this phenomenon of goal achievement. Furthermore, the present-aim thesis and the harmony thesis also fail in explaining why an agent has prudential reason to prioritize her current goals. This paper introduces a new thesis of prudence, according to which an agent’s caring is significant in deciding whether the agent’s actions are permissible. In particular, after introducing this thesis named the care thesis, I argue that the care thesis can explain why an agent has reason to prioritize her current goals if the agent finds her life worth living due to her current goals. It is permissible that an agent obtains her current goals rather than previous goals because achieving her current goals benefits the agent’s cared one (i.e. the self who pursues her current goals).


몇몇 목표는 행위 주체에게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행위 주체는 특정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현재의 삶을 가치 있다 판단하고, 이 목표를 추구하지 않았던 과거의 삶을 무가치하다 여길 수도 있다. 만약 현재 목표가 이와 같은 중요성을 갖는다면, 설령 이전 목표의 달성이 더 큰 이득을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지금의 목표를 달성하는 선택은 타산성의 관점에서 허용될 수있는 듯하다. 타산성에 관한 지배적 입장인 시제 중립성 논제는 목표 달성에 관한이 현상을 성공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더불어 시제 중립성 논제의 대안인 현재- 목표 논제와 조화 논제도 타산성에 관한 이 현상을 설명하는데 실패한다. 본 논문은 타산성에 관한 새로운 관점인 돌봄 논제에 근거하여 현재 목표의 타산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돌봄 논제에 따르면 행위 주체가 특정 시점의 자신을 다른 시점의자신보다 아낀다는 사실은 행위의 타산적 합리성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타산성에 관한 이 논제는 현재 목표를 과거 목표보다 우선시할 수 있는 이유로 해당 목표의 달성이 행위 주체가 각별히 아끼는 현재의 자신에게 이득을 준다는 사실을 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