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탈식민주의 번역이론에서 번역가의 존재는 더 이상 투명유리처럼 보이지 않는상태로 있는 존재가 아니라, 번역의 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의미 생산의 주체이다. 원작에 대한 ‘이상적 독자’로서의 번역가가 담당하는 역할과, 새로운 언어로 원작을 탈바꿈하여 재창출하는 ‘작가’로서의 번역가의 역할이라는 이중적 위치를 고려할 때, 실제 번역의 현장에서 번역가의 젠더가 그 번역의 과정과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적지 않다. 원작과 번역 사이에 존재하는 온갖종류의 위계질서를 뒤집을 수 있는 힘이 존재한다는 최근의 번역이론의 시선에서 보면 더욱 그렇다. 이와 같은 탈식민-페미니스트 번역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원저자, 독자, 번역가의 세 주체의 젠더가 3중적으로 교차하며 이루어 내는 ‘힘’ 의 관계가 어떻게 원작 속 ‘시적 자아(the poetic self)’의 젠더를 규정하고, 변형하며, 재생성하는 지, 그 ‘리젠더링’의 과정을 황진이 시조의 영역텍스트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In light of postcolonial translation, the translator is no longer supposed to be voiceless or should his or her presence remain ‘invisible’ in the finished translation products. Given this translator-oriented context of translation, the questions such as what gender the translator adopts when he or she translates, or how the translator’s own gender interacts with the author’s or the reader’s, raise some critical issues about the role of translator in translation activities, especially when gender plays a central role in understanding the poetic consciousness or thematic messages as in the case of Hwang Jini’s Sijo poems. In light of this three-way relationship among the genders of the author, the translator, and the reader,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s the various English translations of Hwang Jini’s poems in order to explore how ‘visibly’ the translators engage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re-gendering’ the poetic self in Hwang Jini’s Sijo works for their target 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