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표절 사례를 소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양 교육의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표절은 글쓰기 윤리뿐만 아니라, 연구 윤리, 학습 윤리와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비대면으로 수업이 진행되고, 온라인으로 지식이 생산되고 유통되면서 교수자도, 학습자도 ‘표절’의 문제에 자유로울 수 없다. 연구 윤리와 관련된 법이 2007년에 제정되었고, 2015년에 새롭게 개편되었다. 국가, 대학, 개인 교수자 차원에 이르기까지 연구 윤리를 교육하고 있지만, 해당 지침에 포함되지 않는 다양한 표절 사례가 여전히 등장한다. 학습자가 인터넷으로 검색하여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정보를 여러 학습자가 동시에 인용하면서 나타나는 표절 문제와 개별 학습자가 유튜브, 팟캐스트, SNS 등을 인용하여 글을 쓰는 가운데 표절 문제가 등장하기도 한다. 이는 학습자가 인터넷 매체를 활용하여 글을 쓰면서 저지르는 위반 사항이다. 학습자가 글쓰기 윤리에 대해 무지하거나 출처 표시를 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가 아니다. 학습자의 표절 문제는 거시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가 사용하는 매체에 대한 인용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대학 차원에서 이를 반영한 연구 윤리가 강화되어야 한다. 교양 교육에서는 이를 반영한 글쓰기 윤리 교육을 실시하되,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문적 글쓰기의 배경을 충분히 설명하고, 요약하기, 말바꿔쓰기 등의 인용 방법을 안내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introduces plagiarism cases in the writing of university student learners, and aims to come up with ways to improve writing classes. Plagiarism is very closely related to research ethics and learning ethics as well as writing ethics. In Korea, the laws related to research ethics were enacted in 2007 and reorganized in 2015. Although research ethics is being taught at the national and university levels, and even at the level of individual professors, there are various plagiarism cases that guidelines for university student learners do not cove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various materials, some learners search the internet, and plagiarism problems arise as multiple learners end up using the sam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nd plagiarism problems could emerge when individual learners write while referring to videos on YouTube and social media. These are a common violation of plagiarism among learners who use Internet media when they write. We need to approach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learner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criteria for quoting media should be established, and research ethics that reflect these should be strengthened at the university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