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교조직의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있는 교사의 스트레스 및 직무 소진을 예방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정책을 실천하며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구 및 경북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하여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간의 경로계수와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기부여와 잡 크래프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집적 효과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부여가 잡 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간접 효과 또한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리자는 교사의 긍정적 동기부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업무, 인지, 관계 및 협력 크래프팅의 관점에서 알맞은 전략적 지원 방안을 제공해 주어 교사가 학교조직에 자발적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동기부여와 잡 크래프팅이 교사의 조직몰입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학교현장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지속될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nection to preventing stress and job exhaustion in school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implement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policies and ensuring efficiency. It is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jurisdiction of the Daegu and Gyeongbuk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job crafting model, the path coefficient,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analyzed.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direct static effects of both motivation and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significant. The indirect static effects of motivation through the medium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also significant. Based on research findings,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members to increase motivations, and provide appropriate strategic support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ask-crafting, cognitive-crafting, relationship-crafting and cooperative-crafting so that teachers voluntarily immerse themselves in school organizations. In addition, considering motivation and job crafting have an effect on increasi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 related to this needs to continue at school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