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문순태의 『그들의 새벽』에 나타난 도시 빈민의 5·18 참여 양상을연구하는 데 있다. 룸펜이나 하위주체라는 이름으로 호명되기도 하는 그들은 5·18 당시 도청 최후의 날까지 남아 무장 투쟁을 벌였다. 자기 보존에도 급급한 그들이 정치적 주체화가 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대의나 이념과는 무관한 사랑, 증오, 인정 등의 사적인 정념 과잉 때문이었다. 그들의 정치적 주체성은 이웃과 공적 차원에대한 염려, 자기 존엄,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 만들어낸 어떤 책임감 등이 모호하게결합되어 작동하는 정념의 정치성에 가깝다. 이 글은 프레데리크 로르동의 정념에대한 논의와 아렌트의 빈민론에 기대어 빈민의 한 정치적 가능성을 규명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participation of the urban poor in the 5·18 in Soon-Tae Moon’s Their Dawn. They who are called “lumpen” or “subaltern” were on armed fighting, leaving till the Final Day of the Do Office at the time of 5·18. The biggest reason that they who were busy preserving themselves could be politically subjectified is an excess of private sentiments such as love, hatred, and compassion, unrelated to a cause or ideology. Their political subjectivity is like the politicality of sentiments operating as concerns about neighbors and public dimensions, their dignity, and a certain responsibility made by the death of a beloved are ambiguously combine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revealed a political possibility of the poor, relying on Frédéric Lordon’s discussion of sentiments and Arendt’s theory of the p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