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개발된 절대평가로서 국어, 영어, 사회, 과학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정도와 그 추이를 점검하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과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매년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시기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학업성취 추이와 숙달 성취기준과 같은 학업성취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이 마지막으로 적용된 2012년학업성취도평가 결과와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 시기인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학업성취도평가 결과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적용된 2019년 시행 학업성취도평가결과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학업성취 특성의 하나인 학업성취 추이는 지역과 성별에 따른변화와 함께 분석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학업성취 특성으로서 영어I 과목의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이 시기의 학생들이 숙달한 성취기준을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시기 학생들의 영어 성취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과 지역과 성에 따른 성취 점수의 격차를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통학력 수준 학생들은 여러 성취기준 중 절반 이상을 숙달하지 못했고기초학력 수준 학생들은 숙달한 성취기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교육정책을 수립하거나 차기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어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있음을 시사한다.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s a 20-year-old criterion-referenced test, developed on the academic standar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test is annually administered to assess the achievement levels of students in the subject area of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and to survey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 The test results have been used to identify and support the low academic achiev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education policy mak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This study intend to identify the achievement features of the high school English learners in the period of the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in terms of achievement trend and mastered standards. The test results of English from 2012 to 2018, when the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is effective and practiced,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achievement features of the high school learners of English. Overall there is a tendency of a decrease in the test score and a sustained but bigger gap between cities and other regions. Also, more than half of the academic standards of the English curriculum are not ‘mastered’ by the Good group and all the academic standards are not ‘mastered’ by the Basic group. The findings suggest new educational policies and new English curriculum tailored to the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