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로 초래된 현재 위기의 근본적 원인을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생태적 균형 파괴에서 찾는 비판적 성찰의 소리가 높다. 여기에 공감하며 본 연구는 사회적 삶과 교육의 생태적 전환을 위해 듀이 교육철학이 어떤 개념적 실천적 토대를 제공해줄 수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듀이가 자연 안에서 인 간 경험의 근원으로 본 ‘생명’의 본질에 기초한 교육 개념의 생태적 함의를 연속성 과 상호작용 원리를 통해 풀어본다. 이로써 산업자본주의의 폐해를 고심한 듀이 당대 의 문제의식이 오늘의 현실에서 삶과 교육의 새로운 전환을 요청하는 맥락과 상통함 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듀이의 교육적 경험과 성장의 원리에 근거하여 교육의 생태적 전환을 통해 지향하는 핵심 가치를 살아있는 현재의 역동성과 어린이다움의 진정한 상호성에 초점을 두어 밝힌다. 결론에서 사회현실과 학교교육에서 당면한 위기 극복 을 위해 교육을 생태적으로 전환한다는 것이 어떤 실천적 변화를 시사하는지 시론적 수준에서 제안해본다.


We need philosophical inquiries for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social life and education, reflecting up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risis caused by COVID-19 as rooted fundamentally in the perverted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and among human be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hat Dewey’s philosophy of education provides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framework for the ecological education. To begine with,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 traits of ‘life activity’ which is regarded as the natural source of human experience including art and science as well as education in Dewey’s thoughts, which is based upon the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intractable problems of industrial capitalist societies.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the implicated meanings of ecological education are to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the principles of continuity and interaction, which function as the conceptual criteria of educative experience and also explain the conditions of growing life. Finally, it is suggested hypothetically that the needed transformative aspects in classroom practices for ecological education include developing genuinely dialogical relationship among students and teachers, invigorating creative intelligence in social action, let alone cultivating sensitiveness to nature and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