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수업이 대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67명의 농수산대학교의 교양영어를 선택한 대학생이 연구에 참가했다. 연구도구는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이다. 성별에 따라 visual thinking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했으며, 수업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흥미도, 효과성, 추후 활용도, 만족도 영역에서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사후 검사 결과 흥미도, 태도, 불안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여학생이 사후검사와 효과성 영역에서 불안도 감소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어 강의에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첫 번째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지만, 추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classes using visual thinking on college students. There were 67 students in National college Agriculture and Fisheries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 Research tools ar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paired T test.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visual thinking scores depending on gen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I conducted the paired T test.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are shown high average values in areas of interest, effectiveness, later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t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nterest, attitude, and anxiety after the post examination. Particularly, female students indicated less in anxiety in the area of post-examination and effectiveness. Although it is meaningful to use visual thinking in English lecture, I hope to have more study to be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