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장르 중심 쓰기 지도가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인 RISS를 통해 관련 실험 연구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20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양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출간 형태, 실험 설계, 학교급, 처치 기간 별로 결과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르 기반 쓰기 지도가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큰 효과크기 이상이었다(d=1.035, z=8.856, p=.000). 둘째, 전실험 설계에서 준실험 설계보다 더 큰 효과크기가 발견되었다. 셋째, 처치 기간인 9주 이상인 경우가 8주 이하인 경우에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육 현장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 of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on the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In order to do so, experimental studies on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were collected from RISS, one of Korean scholarly database. A quantitative meta-analysis of 20 studies was carried out through calculating the mean effect size. The results were also analyzed and reviewed in terms of publication type, research design, school type, and treatment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sing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had the larg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English writing competence (d=1.035, z=8.856, p=.000). Second, there were higher effect sizes in pre-experimental design than quasi-experimental one. Third, the longer the treatment period is, the higher effect was discovered.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