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위계지향적 병영문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신세대 장병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시행되고 있는 군의 상담시스템상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전방사단 1개 대대 초급간부들을 대상으로 면담과 설문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군 상담의 제도적, 교육적 뒷받침과 군 내부의 부정적 인식 개선, 간부와 병영생활 전문상담관과 유기적 협업체계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복무 부적응 장병 관리를 위한 통합시스템 도입과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을 통해 식별된 개별 장병들에 대한 개별적 처우 등을 중・대대장에게 통보하면, 중대단위 장병의 일반적 처우를 지양하고 개별적 처우를 지향하면서 개선해 나가는 선순환 구조 형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military's counseling system and suggest ways to solve them in order to help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who are unable to adapt to hierarchical-oriented barracks culture. For empirical research, research methods such as interviews and surveys were used for first-time executives of one battalion of the front division. The study found that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support for military counseling, improvement of negative perceptions within the military, and improvement in executives, military life counselors, and organic cooperatives are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a virtuous cycle of introducing an integrated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maladaptive soldiers and notifying the battalion and company commander of individual treatment of individual soldiers identified through military life counselors, and improving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