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면회가 금지된 노인요양시설 입소자들을 대상으로 가족 및 지인과의 영상통화가 입소 노인들의 시설생활만족도, 자기통합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시 J요양원에 입소중인 노인들에게 2020년 5월에서 7월까지 영상통화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SPSS 24.0 윌콕슨 순위부호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통화가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만족도와 자기통합감 증진, 그리고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상황이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노인요양시설의 외부접촉은 제한이 되리라 예측되는 현 상황에서 입소 노인의 신체, 정서, 정신, 사회적 안정을 위한 중재방법을 모색했다는 것에 연구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video calls with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on the satisfaction of living in facilities, self-integra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who are prohibited from visiting due to coronavirus infection-19. For this study, video calls were made to elderly people admitted to OO City’s J Nursing Home from May to July 2020.This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Wilcoxon ranking code tes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as follows. It was concluded that the video call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living in a facility, improving self-integration, and redu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ven if the situation of Corona 19 is ended, external contact at elderly nursing facilities is expected to be limited,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sought intervention methods for physical, emotional, mental, and social stability of the elderly in the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