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8~9세기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소위 교와 선, 이론불교와 실천불교의 관계론을 둘러싼 거대담론의 전개 과정에서, 둘의 ‘和會’라는 방향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 내용을 구축해 제시하고 있는 하나의 사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종밀의 초기 저작이라 판단되는 그의 『원각경』 주석서들을 조사하여, 그가 교와 선의 접점을 어디에서 찾고 있는가, 그리고 그 융합의 방식은 어떤 것인가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확인된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밀의 경우 『선원제전집도서』에서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후에 널리 그의 사상적 특징이라고 일컬어지는 교선일치와 같은 이념은 이미 『원각경』 주석서들에서 기본적인 틀이 형성되었다. 이 둘에 대한 회통적 해석의 구체적 방법과 내용은 禪 개념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통해 불교의 수행론 특히 중국 선종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인하고, 이에 의해 신회 사상의 진리성 확신을 토대로 모든 불교의 수행론을 재해석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종밀에게 『원각경』은 교와 선의 화회가 구현된 최고의 매개체로 해석되며, 결과적으로 교와 선의 관계론에 대한 그의 결론은 『원각경』 교설과 神會 사상의 일체화였다. ‘화엄선’ 등에 의해 교와 선의 관계론에 대한 종밀의 사유지평을 규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지점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is commentaries on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which are considered relatively early works of Tsungmi. Through this work, the question of where does Tsungmi fi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and what is the method of fusion was examined. The confirmed central conten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sungmi, the idea of unity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presented in the Ch'an-yüan-chü-ch'üan-chi Tu-hsü has already formed a basic framework in his commentaries of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The method and content of th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both is carried out through a new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Ch'an. He also confirms the Buddhist practice theory, especially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Chinese Ch'an sect. Through this, it was to reinterpret all Buddhist practices since Indian Buddhism, based on the conviction of the truthfulness of Shenhui thought. In this process, for Tsungmi,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is interpreted as the best medium in which the synthesis of teaching and practice is embodied and, consequently, his conclusion on the relational theory of teaching and practice was the integration of the content of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with Shenhui's thoughts. Re-discussion is needed on defining Tsungmi's thoughts on the relational theory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as “Huá yuàn-C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