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습관문(습관 행위나 현상을 묘사하는 문장)에서 사용하는 조동사 ‘要’의 용법에 대해 통시적, 공시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송대(宋代)의 남방 방언을 반영하는 자료에서 습관문에 쓰인 ‘要’의 두 가지 의미, 즉, ‘의지성’과 ‘의무성’은 화용적 추론 기제를 통해 각기 ‘필연성’을 나타내는 의미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명대와 청대의 자료에서, ‘要’ 앞에 위치하는 주어와 그 뒤에 위치하는 VP 성분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습관문에서 ‘要’의 사용이 점차 확장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현대중국어에서는 ‘要’가 습관문에서 자주 출현하긴 하나 여전히 필연성의 의미를 주로 할 뿐, 습관성의 의미를 표현하지 않는다. 인식양태의미인 필연성은 화자가 내린 판단이 비사실에 속하는 것을 드러내기 때문에 습관문에서 화자는 ‘要’를 사용하여 사태에 대한 ‘불확정’을 표현할 수 있다. 일부 언어 환경에서는 화자가 이러한 ‘불확정성’을 통해 자신의 겸손하고 예의있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현대중국어 습관문에서 ‘要’는 그 자체로 습관성 의미를 나타내진 못한다. 그러나 일부 통사적이며 음성적인 변화로 촉발되어 일부 환경에서 그의 인식양태의미가 점차 희미해지며, 아울러 그 앞에 위치하는 단음절 부사와 결합하여 이음절 단어로 사용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이음절 단어는 습관성 표지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paper discusses the usage of the auxiliary verb YAO(要) in ‘habitual sentences’ (sentences that describe habitual actions and phenomenons), both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After looking through historical and modern Chinese corpus, we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1) Based on linguistic data from the Song dynasty, the meaning of YAO(要) developed from ‘volition’ and ‘obligation’ to ‘necessity' seperately via pragmatic inferences from when it was used in habitual sentences. (2) In modern Chinese, though YAO(要) is often used in habitual sentences, it does not express ‘habituality’ but rather ‘necessity’. However, due to some syntactic and phonectic changes, it is possible that the epistemic modality meaning of YAO(要) will be bleached and that it will be combined with the monosyllabic adverb in front of it, with a chance that the disyllabic words will act as real habitual ma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