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본격적인 게임 비평의 영역에서 발생한 루도내러티브 부조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최근작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를 대상으로 이를 구체화한다. 그 과정에서 이 게임이 루도내러티브 부조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그동안의 게임성에 대한 정의를 넘어서는 인지적 경험을 플레이어에게 전달하고 있음을 살핀다. AAA급 게임의 전방위적인 발달과 함께 루도내러티브 부조화는 각각의 게임들이 극복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로 나타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는 루도내러티브 부조화를 극복하는 것보다는 더욱 드러내는 방식으로 새로운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가 전달하는 루도내러티브 부조화에는 아이러니한 해석적 가능성의 효과들이 있다. 본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부조화를 살피는데, 첫 번째는 게임 내부의 플레이-서사 구조 사이의 부조화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는 두 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조화를 플레이어에게 환기시킴으로써, 플레이어가 그러한 부조화를 인지하고 전체 게임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두 번째로 게임의 내적 구조를 넘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플레이어 내부에 존재하는 인지적 부조화를 자극한다. 바로 게임성이라는 개념을 확장하여, 게임이 편의적인 자기효능감을 위한 도구 이상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환기하는 것이다. 이처럼 루도내러티브 부조화는 게임성에 대한 더 근본적인 재정의 및 변화 가능성에 대한 문제의식의 표현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cept of ludonarrative dissonance that occurred in the realm of full-scale game criticism, and materializes it with the latest work <The Last of Us Part 2>. In the process, it is examined that this game actively utilizes the ludonarrative dissonance to deliver cognitive experiences to players that go beyond the definition of gameness. Along with the all-round development of AAA-class games, the ludonarrative dissonance is emerging as an important task that each game must overcome. On the contrar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ast of Us Part 2> has a different effect than expected by revealing rather than overcoming the ludonarrative dissonance. The ludonarrative dissonance conveyed by <The Last of Us 2> has the effects of ironic interpretative possibilities. This paper looks at dissonance in two dimensions, and the first is the dissonance between the play-narrative structure inside the game. <The Last of Us Part 2> induces the player to recognize the dissonance and actively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whole game by reminding the player of the dissonance that occurs between the two structures. Second, it stimulates the cognitive dissonance that exists inside the player playing the game beyo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ame. That i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gameness, it evokes the possibility that games can function more than a tool for convenient self-efficacy. As such, the ludonnarrative dissonance can be a more fundamental redefinition of game nature and an expression of a problem consciousness about the possibility of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