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가치와 학업 태도 및 성취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37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 및 상관 분석을 실시하고 남녀 대학생의 가치 우선순위를 살펴보았다. 또한 4개 상위가치 및 19개 하위가치가 주요 학업 관련 변인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쾌락추구, 자기주도-행동, 보편주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전통, 동조-대인, 권력 가치는 덜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남녀 대학생 간 가치 우선순위는 대체로 유사하였다. 둘째, 4개 상위가치 중 개방성 및 자기초월 가치는 자기결정성, 성장마인드셋, 그릿, 협동역량 등 긍정적인 학업 변인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자기고양 가치는 자기결정성, 숙달목표, 성장마인드셋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구체적인 하위가치 중 자기주도, 보편주의-관심 등의 가치는 자기결정성,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성장마인드셋, 그릿, 협동역량 등 긍정적인 학업 변인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권력-자원과 체면 가치는 자기결정성, 자기효능감, 그릿 등을 부적으로 예측하고 시험불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가치와 학업성취 간에는 주목할 만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가치가 학업 성취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었지만 성공적인 학업 성취의 예측 요인으로 알려진 학습 동기 및 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자기주도 가치 뿐만 아니라 이타적이고 자기초월적 특성을 지닌 보편주의 및 박애 가치가 긍정적인 학업 태도를 예측한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values to their academic attitudes and achievement. To do this, a self-reporting survey was administered to 370 college students.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analyses for primary variables, and the rank analysis was conducted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value preference. In addi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how values would predict academic variabl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put more importance on the values such as hedonism, self-direction(action), and universalism, while they put less importance on the values such as tradition, conformity(interpersonal), and power.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similar pattern in their value preferences. Second, among the four higher-order values, openness and self-transcendence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self-determination, growth mindset, grit, and collaboration, but self-enhancement negatively predicted self-determination,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growth mindset. Third, among the specific 19 values, self-direction and benevolence(tolerance) positively predicted self-determination, mastery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growth mindset, grit, and collaboration, while power(resources) and face predicted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nd grit negatively but test anxiety posi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valu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um,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college students’ values closely related to their positive academic attitudes. Especi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relations of the altruistic and self-transcending values such as universalism and benevolence to positive academic attitu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