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1에서 중3으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서 사회정서역량 잠재계층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대구교육 종단연구(DELS)의 중1(1차)과 중3(3차) 조사에 응한 학생 2,36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계층 전이 분석과 전이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1은 ‘저역량·저창의’, ‘중역량·저관심’, ‘고역량·저관심’으로, 중3은 ‘저역량·저인성’, ‘중역량·저관심’, ‘고역량·저관심’으로 잠재계층이 분류되었다. 잠재전이는 대체로 ‘중역량·저관심→중역량·저관심’이 29.0%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저역량·저창의→저역량·저인성’이 22.5%로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났다. 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존중감, 학습방법, 협력학습, 가정경험도움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 활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d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profile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ELS(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as well as the transition process between latent groups, and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To do this, latent profile analys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2,363 students who responded to both the first and third surveys in 2017 and 2019. First grade was classified with 'low competency·low creative', 'medium competency·low interest' and 'high competency·low interest'. Third grade was classified with 'low competency·low personality', 'medium competency·low interest' and 'high competency·low interest’. Transition generally remained at the same level or gradually declined. Influencing factors on transition were self-esteem, learning method, cooperative learning, and family experience hel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use of basic data on longitudinal changes in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