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학생의 교육포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학생의 이주배경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초등학생 및 중학생 1,4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이 높을수록 그들의 학업성취도 역시 높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생 개인의 포부와 노력을 강조하는 ‘능력주의’ 시각과 일관된 것이다. 그러나 교육포부와 학업성취도 간의 이러한 정적 관계는 비이주배경 학생 집단에 비해 이주배경 학생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덜 뚜렷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이 속한 집단 간 ‘기회구조’의 차이에 주목하는 대안적 관점에 설득력을 더한다. 이주배경 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한된 기회구조로 인해 개인의 교육포부가 크더라도 그것이 높은 학업성취도로 이어지기 어려울 가능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주배경 학생의 교육적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개인 중심적 접근법뿐 아니라 교육생태계 전반에 걸친 종합적이고 연계적인 대책 강구가 요구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educational aspirations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compared to their native peers. Using data from the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Survey 2017, the academic achievement of 1,450 school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al aspir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supporting the popular ‘meritocratic’ notion of student success. However, this positive association was much weaker for students of immigrant backgrounds, in comparison to their native peers. This pattern was indicative of the uneven ‘opportunity structure’ in which immigrant-background students encounter less opportunities to translate aspirations into achievement. Overall,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icro-level interventions for immigrant-background minority students need to be complemented by macro-level efforts to reduce systemic exclusions in the educational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