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영남지역 5개의 4년제 대학 재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진로미결정, 역기능적 진로사고, 애착회피, 애착불안, 특성 불안, 부적응적 완벽주의, 학년, 성별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응답자 201명 중 진로미결정 평균점수를 중심으로 1 표준표차 이상의 36명과 1 표준편차 이하의 35명을 선정하여 진로미결정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이 낮을수록, 회피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역기능적 진로사고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미결정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진로미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미결정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초점을 맞춘 상담 개입이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미결정 연구 및 상담 개입 전략에서의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indecision. Data on career indecisi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trait anxiety, maladaptive perfectionism, grade, and gender were collected from 201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Seoul and Yeongnam Province. We classified high and low group as the mean +1 standard deviation (SD) and –1 SD of the career indecision. This yielded 36 highs and 35 lows in career indecision.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high career indecision was associated with low grade, high avoidance attachment, high anxiety attachment, and high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It was found that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areer indecis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career in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creas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career indecision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t suggests the need of development program about emotional status of career decision that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make preparations for their career sta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