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촉발된 원격수업으로 인하여 초등교사가 기존에 인식하고 있었던 역할 및 정체성이 어떻게 유지되고 변화되고, 생성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3명의 평정자와 1명의 감수자로 연구팀이 구성되어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개 영역, 10개 범주, 23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의 본질 영역에서 ‘초등교사의 역할’, ‘초등교사의 정체성’을 인식하였다. 둘째, 원격수업 경험 인식 영역에서 ‘원격수업 준비’, ‘원격수업 경험’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격수업의 한계 영역은 ‘수업 과정에서의 문제’, ‘학습 결과에 대한 문제’로 나뉘었다. 넷째, 원격수업의 가치 영역에서 ‘학생 중심 수업의 재발견’, ‘변화하고 성장하는 교사’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교직의 미래에 관한 영역에서 ‘학교의 중요성 재확인’, ‘적응과 확장되는 교사역량’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적 변화 요구와 환경에 따라 초등교사의 역할의 변화가 나타났고, 이에 따른 정체성의 유지와 변화, 그리고 새로운 정체성을 생성해 나가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기관에 대한 초등교사의 지원 요구와 소통의 필요성과 방안, 미래 초등교사의 역량과 역할에 관한 논의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about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oles and identities have maintained, changed and created due to distance learning which has been started by corona 19 pendemic.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elementary school teagers who teaching distance learning and it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yielding 5 domians, 10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were classifi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perceived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essential elementary education. Second, we perceived ‘distance learning preparation’ and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in terms of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Third, the limitations of distance learning were split into ‘problem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problems about learning outcomes’. Fourth, we perceived that ‘rediscovery of student-centered learning process’ and ‘changing and growing teachers’ in terms of distance learning values. Fifth, we perceived that ‘reconfirmation of the importance of school' and ‘adapting and enhancing teachers’ competency' in terms of the fu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profession.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nged according to social change demands and circumstances, and that identity was maintained and changed, and a new identity was being cre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ion points on the needs and pla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pport, communication needs, and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ies and rol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er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