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수학 외적 연결성 유형을 분석 대상의 연결 소재 및 문제 상황에 따라 맥락과의 연결과 타 교과와의 연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교 수학교실에서 교과서의 활용으로 창의・융합 능력의 신장을 가능하도록 하는 소재 및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 수학 교과서의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 발간된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 9종 모두를 수집하여 교과서 내용 전체의 소재와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 외적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맥락과의 연결 유형이 타 교과와의 연결 유형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대부분 단원에서 맥락과의 연결 유형은 실생활 맥락과의 연결이 높게 나타났다. 타 교과와의 연결 유형은 과학/기술 가정 교과와의 연결에 치우쳐 있었다. 이러한 치우침을 개선할 수 있도록 수학교과서에서 다양한 맥락과 교과와의 연결을 제시한다면 수학교실에서 창의・융합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types of external connections that appeared in tenth graders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connection with context and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mathematics textbook that presents the subject matter and problem situations that enable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ability through the use of the textbook in th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l nine types of mathematics subjects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published in 2018 were collected, and the external connection of mathematics was analyzed for the subject matter and problem of the entire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9 mathematics textbooks, the type of connection with context appeared more in all textbooks than the type of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nd in most units, the type of connection with context was real life. The type of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was biased toward the connection with science/technology home economics. If the mathematics textbook presents connections between various contexts and subjects in order to improve this bias, it is expected that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it will be able to enhan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