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영상커뮤니케이션 세계 속에서 소통되고 있는 사진 영상이미지들과 동영상이미지들의 현상학적, 살-존재론적 특성, 즉 교차로서의 살을 통한 영상이미지들의 특성을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살-존재론을 토대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런 밝힘은 사진 영상이미지와 동영상이미지와 상호작용하는 소통자들로 하여금 존재 의미를 인식하게 할 것이다. 영상이미지들의 현상학적인 살-존재론적 특성은 크리에이터의 영상이미지 제작에 활용될 것이다. 차이장을 지평으로 한 차이들이 일어나고 있는 사진 영상이미지는 사진 속 형태와 형태, 색깔과 색깔, 형태와 색채, 부분이미지와 전체이미지 간의 차이와 상호적 교차로서의 살을 통해 사진 영상이미지의 사태 자체를 드러내는 현상학적, 살-존재론적 특성을 가진다. 사진 영상이미지와 사용자는 접속에서 서로 교차의 살을 가지고, 더욱이 사용자는 그 사진 영상이미지에 대해 공감의 살을 가지고 자기 존재 의미를 느끼고 의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진 영상이미지는 그 공감에 대한 살을 가진다. ‘소확행 동영상이미지, 브이로그 먹방 동영상이미지, 1인 방송 동영상이미지’와 ‘크리에이터와 사용자’ 간에는 즐거움, 감미로움, 재미, 소확행 느낌 등의 살이 작용하고 있고, 감각적 느낌논리가 있다. 크리에이터와 사용자는 동영상이미지를 통해서 소확행의 삶과 존재 의미 및 어떤 가치를 느낄 수 있다.


This thesis is aims to clarify the phenomelogical, flesh-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oto images and video imag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images by flesh as chiasm. This clarification will make communicators to interact with photo image and video image to recognize the meaning of their being. The phenomelogical, flesh-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images will be used for producing the reflective images. The photo image with the differences in the field of differences as horizon has the phenomelogical, flesh-ontological characteristics by the mutual flesh and differences between figure and figure, between color and color, between figure and color, between part-image and whole-image in photo. The photo image and user have the flesh of chiasm mutually, moreover user has the flesh of sympathy for the photo image, he can feel and recognize the meaning of his being, and simultaneously the photo image has the flesh for his sympathy. The flesh of pleasure, nectareousness, fun, sohwaghaeng feeling is acting between ‘sohwaghaeng video, Vlog video, Vlog mukbang video, a solo broadcast video’ and ‘creator and user’, the sensible feeling-logic is among them. Creator and user can feel a life of sohwaghaeng, a meaning of their being and a certain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