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기적’이라는 단어는 헤겔과 쉘링으로 대변되는 독일 관념론의 특징적 요소이자 종교사학파와 네덜란드 윤리 신학자들에게서 일반상식처럼 쓰이는 용어이다. 이 단어가 철학, 종교학, 신학에서 흔하게 사용된 점을 고려할 때, 일군의 학자들이 카이퍼와 바빙크의 유기적 관점을 독일의 관념론에서 가져온 것을 주장하는 것은 놀랍지 않다. 하지만 좀 더 최근의 학자들은 두 신학자의 유기적 관점이 개혁주의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하여 기존의 주장을 반박했다. 본고의 목적은 학자들의 논쟁에 직접적으로 뛰어 들기보다, 카이퍼와 바빙크의 유기적 관점을 비교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두 신학자의 유기적 관점이 개혁주의 전통에 기초한다면 성경적 원리 혹은 계시 원리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증명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고는 두 신학자의 기독교 세계관이 잘 묘사되어 있는 작품들을 비교 분석하여, 어떻게 두 신학자 모두 계시에 기초한 유기적 관점을 통해 포괄적인 삶의 체계를 제공하고자 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The term‘Organic' not only is a common feature of German Idealism whose representatives are Schelling and Hegel, but is also commonplace between the history of religious school and the Dutch Ethical theologians. Since this terminology has been used among the academic areas, such as philosophy, the school of religion, and theology, it is not surprising that several lines of scholarship have identified them as the son of German Idealism. However, more recent scholars argued that Bavinck's and Kuyper's organic thoughts are influenced not by German Idealism but by their own Reformed predecessors, such as Calvin and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The present essay examines Kuyper's and Bavinck's organic worldview, comparing each other, and demonstrates that their organic worldview is not similar to Hegelian Idealism as such. Rather, the more typical approach to the language of 'organic' was advocacy of the scriptural revelation, providing the Christian worldview which is able to explain the whole system of the human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