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모국어 사용 여부로 집단을 나누어 각 집단과 청소년의자아존중감과 다문화 수용성, 부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과의 관계 탐색을 통해다문화가정 내 이중언어 교육의 필요성 및 사회ㆍ제도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MAPS)의 2012년도부터 2015년까지의 자료조사에서베트남, 필리핀, 태국 국적의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다문화청소년을 각각 409명을 대상으로 해당 자료를활용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시기별 한국어 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 간 한국어 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없었다. 이는 자녀의 모국어 사용이 한국어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둘째, 모국어 사용 집단에 따른 시기에 대한 주 효과는 학생요인인 다문화수용성과 부모요인인부모효능감에는 있었으나, 학생요인인 자아존중감과 부모요인인 문화적응스트레스에서는 시기에 대한주 효과가 없었다. 셋째, 모국어 사용 집단에 따른 집단에 대한 주 효과는 부모요인인 부모효능감과문화적응스트레스에서는 있었으나, 학생요인인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수용성에는 집단에 대한 주 효과가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모국어 사용이 부모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해석할 수 있다. 결론: 모국어 사용이 청소년의 전반적 언어발달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어 능력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모국어 사용에 대한 변화와 학생ㆍ부모요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는 것에의의가 있다. 특히 동남아 출신 어머니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이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adolescent students chang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use of mother tongue, self esteem,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ultural stress and parent efficacy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ilingualism an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awareness in institutional and personal environments. Methods :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data from 2012 to 2015 from Vietnamese, Filipino and Thai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various countries. A total of 409 students and their mothers were analyzed. Results : First, Korean language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ime passed, yet the 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howing using the mother tongue does not lead to deteriorating students' Korean ability. Second, the main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parent efficacy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y time, whereas, the effect of self esteem and cultural adapt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main effect of parent efficacy and cultural stress were confirmed depending on the use of mother tongue.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using the mother tongue has a positive effect on parents' efficacy. Conclusions : This study confirmed that using foreign mother's language does not have negative effect on students' language development, and students' Korean ability was improve as time passed. This study has its academic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of mother tongue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student factors and parent factors as well a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awareness of using the mother tongue of the foreign parent including those from South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