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헤겔『철학대계』에서 정신철학의 제 1부를 이루는 주관정신 철학은 정신(Geist)을 그것의 내면적이고 주관적 측면에서 다루며 이 관점에서 인간 정신의 내적 구성 및 활동들을 다룬다. 따라서 헤겔의 주관정신 철학은 헤겔의 철학적 심리학을 대변한다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정신은 결코 오늘날 심리철학에서 전제하는 마음(mind) 개념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주관정신 철학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학계 모두에서 헤겔의 다른 대저작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연구되었으며, 특히 주관정신 철학의 세 부분 「인간학」, 「정신현상학」, 「심리학」 사이의 형식적, 내용적 연관 관계 속에서 그 전체를 조망하는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연구 상황을 염두에 두고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에 대하여」에 나타난 수동적 지성 개념에 대한 헤겔의 해석에 주목하여 이를 토대로 「인간학」을 중심으로 헤겔의 주관정신 철학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논자는 헤겔의 주관정신 철학의 세 부분, 「인간학」, 「정신현상학」, 「심리학」이 정신이 낮은 단계를 지양하고 높은 단계로 올라간다는 일직선적 정신 발전 혹은 전개 개념이나 즉자적 통일성으로서의 정신이 근원적 분열을 겪고 대자적으로 통합된다는 도식적 변증법 논리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인간 정신을 구체성으로 특징짓고 내용으로 가득 찬 실체로 규정하여 이 하나의 동일한 대상을 상이한 형식적 관점에서, 특히 정신의 증가하는 주체화 과정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Hegel’s philosophy of subjective spirit, which constitutes the first part of the Philosophy of Spirit in his Encyclopedia system, addresses the internal constitution and activities of the human spirit, considering spirit(Geist) in its internal, subjective, and ideal aspects. Hegel’s philosophy of subjective spirit can therefore be viewed as representing and embodying his philosophical psychology. Importantly, his notion of subjective spirit goes far beyon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what we call today “mind.”This important part of Hegel’s philosophy, however, remains studied relatively less in Hegel scholarship. Specifically, there are very few studies that deal with the philosophy of subjective spirit in its entirety in view of the systematic, internal, and organic relationship among its three divisions, i.e., the Anthropology, the Phenomenology of Spirit, and the Psychology. This paper attempts at presenting Hegel’s philosophy of subjective spirit in terms of the organic relationship among its three division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Hegel’s understanding of Aristotle’s notion of passive nous. It shows that those three divisions cannot be understood as presenting an ever progressing, linear development of spirit in which the lower stage is supposed to be merely abandoned or overcome by the higher one, nor in terms of the schematically conceived dialectic whereby the original, implicit totality undergoes the original division before it regains its totality and becomes explicit. Instea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y consider one and the same object, that is, the finite human spirit, characterizing it in terms of concreteness, defining it as a concrete substance fulfilled with contents, and portraying this one and the same object in terms of different forms,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process of spirit’s increasing subjec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