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주중 및 주말 수면시간과 악력 간의 관련성을성별 및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19-40세, 41-60세, 61세 이상에서 성별에 따른 주중 및 주말 수면시간과 악력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소득, 교육, 흡연, 음주, 신체활동, 비만, 대사증후군, 만성 질병 유무를 보정하였다. 결과: 주중 6-7시간의 수면군에 비해 남자 61세 이상에서8시간 초과군의 유병비가 1.8, 여자 61세 이상에서 6시간 미만 수면군은 1.4, 8시간 초과 수면군은 1.7이었다. 주말 6-7시간의 수면군에 비해 남자는 41-60세에서 7-8시간 수면군과8시간 초과 수면군에서 각각 유병비가 2.7, 4.9였고, 61세 이상 군에서 8시간 초과 수면군은 2.1이었다. 여자는 19-40세군에서 8시간 초과 수면군은 1.5, 61세 이상은 6시간 미만수면군에서 1.4, 7-8시간은 1.4, 8시간 초과는 2.0이었다. 결론: 8시간 초과 수면은 노년층 남녀에서, 6시간 미만의주중 및 주말 수면시간은 노년층 여자에서 악력저하의 위험과 관련이 있었다. 긴 주말 수면시간은 청장년층에서도 악력저하와 관련이 있었다.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handgrip strength (HGS) with the consideration for sex and age groups. Methods: Among 10,783 individual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7, the associations of weekend and weekdays sleep duration with HG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income, education, smoking·alcohol use, weight status,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illness according to sex and age (19-40, 41-60, ≥61). Results: With respect to the weekdays sleep duration, the odds ratios for low HGS in men and women aged ≥61 years with >8 hours sleep duration were 1.8 and 1.7, while the odds ratio (OR) was 1.4 in women aged ≥61 years with <6 hours compared to reference group. With respect to the weekend sleep duration, the ORs for low HGS in men 41-60 years with 7-8 hours or >8 hours sleep were 2.7 and 4.9, while the OR in men ≥61 years with >8 hours sleep was 2.1. In women, the OR was 1.5 for those 19-40 years with >8 hours sleep duration; 1.4, 1.4, and 2.0 for those ≥61 years with <6 hours sleep, 7-8 hours sleep, and >8 hours sleep. Conclusions: Higher risk for low HGS was associated with >8 hours sleep duration in weekdays and weekend in older men and women, <6 hours sleep duration in weekdays or weekend in older women, and >8 hours weekend sleep duration in younger men an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