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 자판입력속도, 손의 기민성과 눈-손 협응 능력의 관계가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자판을 사용하여 손 기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함이다.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명을 대상으로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Purdue Pegboard, Groved Pegboard Test와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 Adolescent를 평가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 협응력과 시각-운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산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협응력과 시각-운동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Purdue Pegboard Test 중 우세손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13, p<.05). 또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K-DTVP-A의 항목 중Copying(r=-.33, p<.05), Visual Motor Search(r=.45, p<.01), Visual Motor Sped(r=-.453, p<.01), Form Constancy(r=-.341, p<.05)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스마트폰 양손 조작을 활용한 손 기능 증진과 시각-운동에 관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인 실험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조작을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and functional training programs using a keyboard to s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n the smart keyboard input sped using both hands, the Dexterity of the hand and the eye-hand cordination abilty.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d, Purdue Pegboard, Groved Pegboard Test, and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Adolescent were evaluated for 40 university students Provinc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erences in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d, dexterity, eye-hand cordination abilty and visual-motion using both hands a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earson corelation was also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n hand-used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d, hand dexterity, eye-hand cordination abilty and visual-motor. As a result,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d using both hands showed a corelation with the dominant hand in the Purdue Pegboard Test (r=-.313, p<.05). In aditon, the input sped of the smartphone keyboard is Copying(r=-.33, p<.05), Visual Motor Search(r=.45, p<.01), Visual Motor sped(r=-.453, p<.01) and Form Constancy (r=-.341, p<.05) in the item of K-DTVP-A.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wil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fectivenes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wil be proven through aditonal experimental studi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