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운율 형식은 어법 의미를 ‘발현’시키고 동시에 어법 구조에 ‘제약’을 가하는 작용을 한다. 운율 이론은 운율 형태론과 운율 통사론이라는 두 가지 방면을 포함한다. 운율 형태론에 관련된 운율학의 원리에는 ‘상대적 강세 원칙’과 ‘음보 이분 원칙’, ‘음보 단핵 법칙’ 등이 있다. 운율 통사론에 관련된 운율학의 원리에는 ‘핵 강세 할당 규칙’과 ‘2분지 강세 규칙’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율 규칙들 사이에는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운율 충돌을 조정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다. 기존의 운율 규칙을 수정하여 재해석할 수도 있고 운율 규칙의 ‘제재’를 구조적으로 피할 수도 있다.


The prosody form ‘expresses’ the grammatical meaning, and at the same time adds a “restriction” on the grammatical structure. Prosody theory includes two aspects: prosody morphology and prosody syntax. The principles of prosody related to prosody morphology include the ‘relative prominence principle’, the ‘foot dichotomy principle’, and the ‘foot mononuclear principle’. The principles of prosody related to prosody syntax include the ‘nuclear stress assignment rule’ and the ‘binary stress rule’. However, prosodic conflicts may arise between these prosody rules. There are several ways to adjust the prosodic conflict at this time. In order to adjust the prosodic conflict, the existing prosody rules can be reinterpreted by modifying them, or the ’sanctions‘ of the prosody rules can be structurally avo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