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숙향전〉에 나타난 환상성의 작동 방식은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 환상계의 지속적 응시와 관조에서 환상성이 입체화된다. 거북의 이마에 새겨진 하늘 천(天)자를 통해 영물을 알아보는 인물을 시험하고 꽃송이로 숙향의 미래를 예고하거나 숙향의 표진강 투신을 미리 알고 구조하는 등의 환상계 개입에서 드러난다. 사건을 변화시키는 주체로 환상계를 인식하고 있었던 전통적 문법이다. 둘째, 환상성은 물리적 공간의 비물질화 변용에서 나타난다. 숙향과 장승상 부부 사이의 3천300리 거리가 흰사슴을 활용해 단시간에 축약되거나 숙향과 이선의 3천 여리 거리가 연엽주로 축약된다. 화염 속의 숙향을 4천 300여리 밖 화덕진군이 나타나 구하거나 숙향이 수놓은 봉황의 날개를 천 리 밖 화덕진군이 찾아와 태워 버린다. 이 방식은 이선의 구약 여행담에서도 부각된다. 물리적 공간의 비물질화 변용은 자연의 숨은 공간에 대한 상상력의 발로에서 기인한 문법이다. 셋째, 환상성은 가사(假死)체험의 은유와 은닉을 통해서도 작동한다. 숙향이 경험한 요지연 풍경은 곧 한동안 의식이 없어지거나 호흡과 맥이 멎어 죽은 것처럼 되는 가사체험을 은유한다. 표진강에서 투신한 뒤 접한 환상계는 가사상태에 빠진 숙향의 의식을 은유한다. 그녀가 거듭 죽었다가 부활하는 서사는 극적 긴장감을 떨어뜨린다. 이를 대신한 것이 가사체험이다. 갈대밭의 화마 속 위기 상황, 마고와 동행한 이화정에서의 환상계 경험도 동일하다. 숙향은 가사체험을 할 때마다 육체적으로는 사경에 빠지고 정신적으로는 환상계의 기억과 조우한다. 가사체험을 통해 입도하는 ‘성소’는 현실계에서 좌절된 꿈의 마지막 보루이자 역경을 이겨내는 생명력의 은닉처로 작동한다. 〈숙향전〉은 조선후기 전쟁의 여파로 인한 기근, 역병, 유기, 도적들의 횡행과 같은 난제를 담고 있다. 현실적 난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환상성을 통해 ‘공동체적 사랑의 복원’을 구현한다. 숙향의 가정이 복원되는 과정은 사회적 상처와 고통이 봉합된 공동체적 사랑의 복원을 뜻한다. 곧 환상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의 성찰과 깨달음을 유도하는 주제의식에서 문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Nature as a fantasy background in <Sookhyangjeon>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 it works as a subject to stare and contemplate characters. It is not a passive background but engages and intervenes in the essence of the event. Through the heavenly heaven on the forehead of the turtle, it finds a person who is brilliant. Nature foreshadows the future of The Sookhyang with the flowering. It rescues and knows that Sookhyang falls into the Pyojin river. Nature changes events in the equal position with the narrative subject. Second, nature appears as a spatialization aspect of non-materials. The distance between Sookhyang and Jang seungsang is 3,300 li. Sookhyang arrives in a short time in a white deer. The distance between Sookhyang and Lee seon is about 3,000 li. Sukhyang travels on the Yeonyeopju. When the reed field is on fire, Hwadokjin comes out of 4,300 li and seeks Sukhyang. When Sukhyang sews, the Hwadokjin army comes out of 1,000 li and burns the wings of the bird. This transforms nature into an immaterial space. Even on the trip where Lee seon goes to find medicine, the physical space turns into a non-physical space. This is an expression from the imagination of the hidden space of nature. Third, it works as a metaphor and hiding place for the near death experience. The scenery of Yojiyeon experienced by Sukhyang refers to the state of eear death experience. The near death experience is like a unconsciousness for a while, or a breath and a pulse stop. The transcendental system that Sukhyang met after she falls out of the pyojin river is the same. It expresses the Sukhyang’s consciousness in The near death experience. The narrative that she died and resurrected repeatedly reduces dramatic tension. It is The near death experience that replaced this. When The near death experience, the Sookhyang falls into a a deadly situation physically and mentally encounters the memory of transcendental system. The transcendental world that meets through the The Nnear dath experience is the last bastion of frustrated dreams in the real world. And it works as a storage of life force that overcomes adversity. <Sookhyangjeon> contains difficulties such as famine, tribute, plague, abandonment and bandits caused by the aftermath of the late Joseon War. Nature as a fantasy background that appears at this time symbolizes 'restoration of community love'.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home of the Sookhyang means the completion of community love with social wounds and pain sealed. It induces reflection and enlightenment of community members through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