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각 대학은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강의 비율을 급격하게 높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온라인 강의에 대한 대학생의 강의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온라인 강의는 물리적 거리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하지만, 이와 동시에 각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의 물리적 공간을 확보하도록 요구하는 이중적 성격을 지닌다. 이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고, 학생별 적절한 학습장소의 확보라는 강의 외적 측면의 변수가 해당 학생의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역설적 가설을 제기했다. 이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서울 소재 H대학교의 2020학년도 1학기 재학생 학습 경험 설문조사 자료를 재분석했다. 학부 재학생 1,49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강의 수강을 위한 적절한 장소의 확보에 어려움을 경험한 정도가 큰 학생일수록 강의만족도를 낮게 보고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강의 내적 질을 좌우하는 여러 교수학적 요인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학습참여의 장소의존성 역설’을 보여준다. 온라인 강의의 강의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적 질 제고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환경에 대한 관심이 함께 요구된다.


Universities have drastically increased the proportion of online or blended courses in response to the outbreak of COVID-19.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mediated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nline or blended courses are often understood to enjoy functional advantages as they can transcend spatial limits. The present study, however, sheds light on the other side of online learning, i.e., the fact that online learning requires individual learners to prepare learning spaces for themselves. We hypothesize that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depends in part on ‘learning space’ variables. To test this hypothesis, a series of analyses has been conducted based on a survey dataset for 1,496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a Seoul-based university. In line with our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ifficulty in accessing and/or using adequate learning spaces. This relationship holds even after we take into account a range of other variables. This pattern suggests that online or blended courses do not automatically transcend spatial limits; effective online learning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or accessibility to) adequate learning sp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