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Within the framework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FL)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the present article investigates the discourse functional roles of interpersonal grammar and cohesion in the discourse of a courtroom hearing. By using a legal transcript of a 404(b) pre-trial hearing as our data involving multiple cases of child molestation, the article first examines the nature of the courtroom setting for the identification of power structure differences that may affect language choices of the participants. It then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institutional legal structure of power is manifested in the courtroom through the deployment of modality, conjunction, and speech act functions presupposed in different question types.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argue that the courtroom is a place where past events are not just recounted truthfully in the words of witnesses but are rather created and recreated through the discursive control of the witness narratives by the winning attorney.


이 논문의 목적은 계통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과 비평담화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이론 틀을 분석의 기초로 법정 공판의 담화(discourse)에서 발현되는 개인상호적 문법(interper- sonal grammar)과 언어의 응집성(cohesion)의 사회 담화 기능적 역할을 분석함에 있다. 이 논문은 미국의 웨스트 버지니아 주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유아폭행사건에 연류된 원고(原告)의 법정 진술에 의해 시작된 404(b) 청문회의 기록전문, 즉 재판전 법정 피의자공판에서 나타난 진술을 분석의 근거로 삼아, 변호사, 검사, 그리고 원고와 피고(被告)와의 다양한 사회기호학적 권력의 상관관계(social semiotic power structure)가 담화 발현에 미치는 언어학적 현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저자는 법에서의 진실, 즉 심문과 반대심문, 그리고 여기에 상응하는 원고와 피고의 과거 사실에 대한 각자의 과거 진술은 단순히 과거 사실만을 기초로 한 객관적인 진실이 아니라 원고와 피고의 진술을 근거로 한 상위 권력을 가진 승소(勝訴)변호인에 의해 조합되고 재창조되어진 주관적인 진실이라고 주장한다.